www.smartincome.com


개인 카페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은 아끼고 아껴도 기본 5000만 원입니다. 임대료가 포함되지 않은 말 그대로 차리는 비용인데요. 창업 컨설턴트들에 따르면 인테리어에만 2000만 원, 냉난방 및 집기류에 2000만 원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여기에 임대 보증금을 더하면 개인 카페 창업에 수억 원이 들어가죠.


게다가 매번 원두 같은 식자재부터 빨대, 컵 등 부자재를 챙겨야 합니다. 이 같은 번거로움을 대신해 주는 것이 바로 프랜차이즈 카페입니다. 다만 업체별로 창업 비용은 다르게 나타났는데요, 얼마나 다른 지 요즘 핫한 카페 창업 비용을 함께 알아보시죠.


창업 비용이 1억 원 이하? 저렴한 메가 커피


1억 원 이하로 창업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가 있을까요? 보통 메가 커피로 부르지만 정확한 브랜드명은 메가 MGC 커피입니다. 메가커피는 고가 커피 못지않은 품질과 메가라는 이름에 맞는 24온즈의 대용량 커피를 저렴하게 판매해 가맹점 수가 급증한 카페입니다. 로열티가 월 15만 원에 불과하다는 게 장점이죠.


이런 메가커피의 창업 비용은 매머드 커피보다 저렴한 6710만 원(10평 기준)입니다. 가입비도 880만 원으로 보다 낮죠. 기자재 비용 2640만 원, 간판 550만 원, 최초 공급 상품 및 비품 비용으로 2640만 원이 들어갑니다. 인테리어 비용은 10평 기준 1485만 원입니다. 평당 185만 원이죠. 10평이라면 8195만 원으로 창업할 수 있군요.


1억 원대 창업 가능한 매머드 커피


1억 원대로 창업할 수 있는 커피 프랜차이즈 중에는 매머드 커피가 있습니다. 매머드 커피는 무인 결제 시스템과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하는 업체입니다. 인건비가 절약되는 만큼 커피가 저렴하기로 유명하죠. 사람을 적게 쓰는 만큼 관리가 편하다는 게 장점입니다. 창업 비용은 10평 기준 8718만 원으로 최초 5년 계약 후 2년씩 연장 계약을 맺고 있죠. 로열티는 월 22만 원입니다. 


창업 비용은 가입비 1100만 원과 교육비 550만 원, 간판 550만 원, 커피 설비 및 잡기에 3850만 원, 초도물품 330만 원, POS 설비 138만 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인테리어 비용으로 10평 기준 2200만 원이 들어갑니다. 평당 272만 원이죠. 10평으로 창업하면 총 1억 918만 원이 들어가네요.


가성비 커피의 대명사, 이디야 커피는?


과거 프리미엄 카페들의 고가 커피 전략 사이에서 가성비 커피로 인기를 끈 카페가 있습니다. 바로 이디야 커피죠. 저렴한 가격과 보편적인 커피 맛으로 인기를 끌었죠. 최근에는 음료 가격이 인상된 데다가 저가 커피가 너무 많아 예전보다 브랜드 정체성이 퇴색한 카페입니다. 경쟁사가 로열티를 매출에 비례해 받을 때 고정 25만 원으로 설정한 곳이기도 합니다. 


이디야 커피의 창업 비용은 20평 기준 1억 745만 원입니다. 이디야는 다소 비용을 세분화해두었습니다. 최초 가맹비 항목은 가입비 220만 원, 교육비 330만 원, 매뉴얼·경영 지도 비 550만 원으로 총 1100만 원이죠. 계약이행 보증금 500만 원까지 포함하면 최초 가맹비는 총 1600만 원입니다.


이외에 인테리어는 평당 209만 원으로 20평 기준 4180만 원, 외부 사인 550만 원입니다. 이를 위한 실사 및 도면 제공비로 550만 원이 추가되죠. 의자와 탁자 990만 원, 기기 장비 3080만 원, 오픈 판촉비 220만 원, 초도 상품 880만 원은 별도입니다. 최초 가맹비 포함 1억 6100만 원이 드는군요. 로열티는 여전히 25만 원입니다.


많은 분들이 창업하고 싶어 한 스타벅스는 직영점으로만 운영됩니다. 그래서 스타벅스는 가맹점이 없죠. 다만 임대차 방식을 고정 월세와 변동 월세(수수료 방식)으로 진행해, 건물주만 창업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라 불립니다. 하지만 최근 수수료율이 낮아지면서 건물주들 사이에서 인기가 한층 시들해졌습니다.

최찬식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