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지옥> 등이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으며 한국 콘텐츠 산업의 위상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11월 서비스 시작한 디즈니 플러스
지난달 매출만 172억
한국은 한 달 무료 프로모션 없어
넷플릭스 한 달 매출은 768억 원
<오징어 게임>
글로벌 OTT 서비스인 디즈니플러스, 애플TV 플러스도 한국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OTT 플랫폼에 관심이 더욱 커졌죠. 실제로 OTT 서비스를 이용해 콘텐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는데요. 지난달 서비스를 시작한 디즈니플러스의 한 달 매출은 어느 정도일까요?
서비스 시작한
디즈니플러스
연합뉴스
디즈니플러스
지난 11월 12일 한국에서 공식 서비스를 시작한 디즈니 플러스. ‘글로벌 콘텐츠 공룡’이라 불리는 디즈니 플러스는 마블과 스타워즈 시리즈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데요. 특히 <로키>, <완다 비전> 등 그동안 국내에서 볼 수 없었던 작품들이 공개돼 큰 관심을 끌었죠. 실제로 디즈니플러스의 국내 서비스를 기다리던 팬들이 많았기 때문에 첫날부터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가입 인증글과 시청 인증글이 올라오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완다 비전>
<로키>, <팔콘 앤 윈터 솔저>
하지만 일부 소비자들은 디즈니플러스의 이번 한국 서비스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해는데요. 지난 2019년 11월 미국에서 첫 서비스를 시작한 디즈니플러스는 당시 1달 무료체험 프로모션을 진행했습니다. 미국뿐 아니라 영국, 캐나다, 일본 등의 국가에서도 서비스 런칭 당시 같은 방식의 프로모션을 진행했죠. 하지만 한국에서는 첫 달 무료 프로모션, 특별 할인 등의 서비스도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뉴스1
<그리드>
프로모션 이벤트에 대해서 디즈니플러스에서는 “올해 중순부터 서비스를 런칭하는 국가에서는 출시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지 않는 것이 본사의 방침”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한국만 차별하는 것 아니냐”, “디즈니에서 한국 시장을 무시하는 것 같다” 등의 반응을 보였죠.
세계 1위 기록한 <지옥> 보고 바로 주식 구입한 투자자 근황, 알고 싶다면...더보기▼
넷플릭스 드라마 지옥 보고 주식 샀다는 투자자. 수익은 얼마?
지난달에
172억 벌어
디즈니플러스
뉴스1, 디즈니플러스
디즈니플러스가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 지 한 달이 되어가는데요. 한 달 동안 디즈니플러스는 한국에서 어느 정도의 수익을 올렸을까요? 애플리케이션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ㆍ리테일ㆍ굿즈가 지난 한 달 동안의 디즈니플러스 결제 금액과 유료 결제자 수 추정치를 조사한 결과 11월 12일부터 30일까지 디즈니 플러스는 결제한 사람은 총 31만 명이었습니다. 이를 결제 금액으로 환산하면 172억 원이 넘는 금액입니다.
<로키>
<엑스파일>
디즈니플러스를 가장 많이 결제한 연령층은 30대로 전체 결제자의 41%를 차지했으며, 두 번째는 전체의 24%를 차지한 20대였습니다. 현재 디즈니플러스는 월 정기결제(9900원)와 연간 결제(1년 9만 9000원) 두 가지 요금제를 구성하고 있는데요. 전체 결제자 중 절반 이상이 1년 정기결제를 선택했습니다. 또한 디즈니플러스를 결제한 사람 중 32%는 이미 넷플릭스도 함께 구독하고 있는 사람이었죠.
넷플릭스 근무 환경은 어떨까?, 알고 싶다면...더보기▼
이직하자마자 연봉 2배 뛴다는 ‘넷플릭스 코리아’ 근무 환경에 쏟아진 반응
넷플릭스는
요금 인상
연합뉴스
넷플릭스의 경우에는 지난달에만 결제자 수가 총 507만 명으로 금액으로 환산했을 때 약 768억 원의 수익을 올렸는데요. 지난달에는 요금제 인상을 발표해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넷플릭스는 요금 인상 계획을 발표하며 “2016년 1월 한국 시장에 진출한 이래 가격 인상이 한 번도 없었고 콘텐츠 투자를 통한 서비스 수준 유지를 위해 요금 상승이 불가피하다”라고 전했는데요. 이후 넷플릭스는 스탠더드 요금제를 월 12000 원에서 13500 원으로, 프리미엄 요금제는 월 14500 원에서 1만 7000 원으로 인상했죠.
연합뉴스
연합뉴스, 뉴스1
디즈니플러스와 넷플릭스의 지난 11월 예상 매출을 접한 누리꾼들은 “172억 보고 정말 많이 번다고 생각했는데 넷플릭스 768억은 뭐지…” “디즈니플러스 생각보다 적은 거 같은데” “디즈니플러스 솔직히 콘텐츠가 다른 서비스들에 비해서 그렇게 많지는 않은 듯”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