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낮은 PB 상품에 대기업이 주력하는 이유
PB를 내놓는 진짜 이유는 뭘까?
요즘 대형 마트에 가보면 해당 마트 브랜드를 달고 나오는 제품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제품들은 심플한 디자인에 가격은 낮고 품질은 일반 제품과 차이가 없어 '가성비 아이템'으로 사랑받고 있는데요. 품질은 높고 가격은 낮은 제품을 내놓으면 기업 입장에서는 손해가 아닐까요? 그럼에도 기업들이 앞다투어 낮은 가격의 PB 제품들을 내놓는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지금부터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PB와 NB의 차이
시작하기 전에, PB가 정확히 뭘 뜻하는지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PB는 Private Brand의 약자로, 유통업체 자체 브랜드 상품을 말합니다. 기획은 유통업체가 하고, 생산을 제조사에 의뢰하는 시스템이죠. 이에 반대되는 개념이 NB라고 할 수 있는데요. National Brand의 준말인 NB는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가 직접 브랜드를 소유하고 관리하며 유통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난해부터 국내 PB 상품 대격돌
한국에선 비교적 최근에 화제가 되기 시작했지만, 최초의 PB 상품이 등장한 것은 1880년 영국에서라고 합니다. 이어 서유럽 전역과 미국, 일본 등지로 퍼져 나간 PB 상품은 유통업체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쓰였는데요. 많은 업체들이 PB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내세웠죠.
반면 영국의 테스코는 소비자의 다양한 소비 패턴을 모두 흡수하기 위해 고급, 중급, 저가의 3단계로 이루어진 상품 차별화 전략을 내놓았습니다. 이 방식으로 매출 증가를 이룬 테스코는 시장 2위에서 1위로 올라설 수 있었다고 하네요.
출처: 인스타그램 @tori_jmworld
국내 유통업체들도 가만히 있을 수 없겠죠. 최근 몇 년간 이마트의 노브랜드와 피코크, 롯데마트의 온리프라이스, 홈플러스의 심플러스 등 대형 유통업체의 프라이빗 브랜드가 본격적으로 론칭했는데요.
이마트의 노브랜드는 선발주자로서의 존재감이 확실하고, 롯데마트의 온리 프라이스는 1,000원 단위로 딱 떨어지는 가격으로 눈길을 끕니다. 홈플러스의 심플러스는 글로벌 소싱을 통해 질 좋은 '진짜' 상품을 가져오기 위해 애를 쓰고 있는데요. 초콜릿은 벨기에 기업에, 파스타는 이탈리아 업체에 제조를 맡긴다고 하니 품질이 남다를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이유
출처: 인스타그램 @instant_owl
유통업체도 이윤을 목표로 하는 기업인데, 손해를 보면서 PB 상품을 제조하지는 않겠죠. 한국소비자원의 발표에 따르면 PB 제품은 NB 제품에 비해 평균 22.1%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가격을 낮게 책정하면서도 마진율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물론 유통단계가 확 줄기 때문입니다. 제조업체를 쥐어짜서 납품단가를 내려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정적 거래만 보장해 준다면 제조업체 입장에서도 PB 제품은 이득이라고 합니다.
출처: 인스타그램 @akib0324
PB 상품 제작으로 유통업체가 노릴 수 있는 이익은 또 있습니다. 바로 긍정적 이미지 창출 효과인데요. 가성비 좋은 PB 상품을 접한 소비자는 자연스럽게 해당 기업에 대해서도 좋은 이미지를 갖게 되고, 그 기업의 매장을 자주 찾게 된다고 합니다. 방문한 매장에서 PB 상품을 또 구매하든, NB 상품을 구매하든 유통업체에는 이득이 되겠죠.
PB 상품을 만드는 진짜 속내
국제뉴스
하지만 이것만이 기업들이 앞다퉈 PB 상품을 내놓는 이유는 아닙니다. 제조사와의 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는 것도 PB를 개발의 메리트 중 하나라고 하는데요. 제품의 원가 구조나 품질에 대해 낱낱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사와의 협상에서 잘 몰라 손해 보는 일이 줄어든다는 겁니다.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PB 상품은 유사 상품으로 거래하는 제조사들의 강력한 라이벌이 되는데요. 유통업체가 직접 판촉과 진열 등을 관리하기 때문입니다. PB 제품에 지나치게 밀리지 않는 자리를 얻으려면 유통업체에게 잘 보이는 것도 중요하겠죠. 사정이 이렇다 보니 유통업체가 PB 상품을 내놓으면 유사 NB 제품을 가진 제조업체들은 이전보다 좋은 조건을 제시하기도 한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