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를 타고 국내 여행을 하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버스 터미널입니다. 대구는 ‘대프리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무더운 날씨로도 유명하지만 서문시장, 김광석 길, 근대골목투어 등 매력적인 여행지들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죠. 그런데 대구터미널을 다녀온 사람들이 모두 입을 모아 하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대구 터미널의 위치가 이상하다는 것인데요. 어찌 된 일인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름 따라 찾아가면 큰일 나는 대구 버스 터미널들
출처 : 구글 맵
대구의 버스터미널은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서대구 고속버스터미널, 대구 서부시외버스터미널, 대구 북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총 4군데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름과 위치가 일치하는 곳은 동구 신천 4동에 위치한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밖에 없죠. 나머지 버스 터미널들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 것일까요?
서대구 고속버스터미널은 북구 노원동 3가에 위치해 있습니다. 동대구 고속버스터미널로 가는 고속버스들의 중간 하차장이죠. 이름대로 서구에 위치했을 것이라는 예상을 벗어났는데요. 이 터미널에서 시, 종착하는 노선은 없기 때문에 이곳을 찾는 탑승객은 동대구 고속버스터미널에 비하면 적지만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지도를 보고 갸우뚱한답니다.
출처 : 위시 빈, 네이버 지도
서부 시외버스터미널은 남구 대명 11동에 있습니다. 서구도 아니고 서대구 고속버스터미널과는 또 다른 위치이죠. 이곳은 대구에서 가장 먼저 개장한 시외버스 터미널로 '서부정류장'이라는 이름으로 더욱 알려져 있죠. 여기는 경상남도의 다른 지역이나 경상북도 남서부, 호남권 등으로 가는 분들이 많이 이용하는데요. 시외버스 터미널 중 이용객이 가장 많습니다. 이름 때문에 위치를 착각하는 분들도 많지만 특히 서대구 고속버스터미널과 서부 시외버스터미널을 착각해 잘못 내리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서대구 고속버스터미널과 서부 시외버스터미널이 각각 북구와 남구에 있다면 서구에는 무엇이 있는 것일까요. 바로 북부시외버스터미널이 있습니다. 북부시외버스터미널은 서구 비산 7동에 위치해 있죠. 이곳 역시 이름과 위치가 맞지 않는데요. 지금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예전에는 존재하던 남부시외버스터미널은 동구 신천 4동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출처 : YTN
이들 터미널은 왜 이름과 맞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는 걸까요? 이는 어느 위치에 있느냐가 아닌 어느 방향으로 가느냐를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즉, 남구에 위치한 서부 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대구의 서쪽인 합천, 고령, 전라도 방면의 버스를 탈 수 있다는 것이죠. 이름을 지을 당시에는 그랬지만 노선이 더욱 많아진 지금은 별 의미 없다고 합니다. 대구 최대 버스터미널인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로 가면 전국 곳곳으로 갈 수 있어 헷갈릴 일이 없다고 하네요.
이름과 위치가 따로 노는 다른 사례들
이름만 보고 찾아가면 안 되는 곳은 대구터미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놀랍게도 대구대학교와 경북대학교는 서로 위치가 바뀌었는데요. 대구대학교는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해 있고, 경북대학교는 대구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국립 대학이죠. 경북대가 현재 대구에 있는 것은 캠퍼스를 지을 당시 그 지역이 경상북도였기 때문인데요. 이름만 보고 대구대학교는 대구에, 경북대학교는 경상북도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이름만 보고 찾아가면 안 되겠습니다.
출처 : 오마이뉴스, 네이버 지도
수원대학교도 의외의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바로 경기도 수원시가 아닌 화성시에 캠퍼스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수원 화성 때문에 수원시와 화성시를 구분 못하는 사람도 있어 수원시와 화성시에 사는 주민들은 가끔 수원 화성과 화성시를 타 지역 사람들에게 설명하는 데 애를 겪는다고 하네요.
출처 : 남서울대학교, Korea IT Times, 네이버 지도
경기고등학교는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을까요?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동서울 대학교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남서울대학교는 더 멀리 떨어진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해 있죠. 서울 대방 초등학교와 서울 신길 초등학교는 위치가 서로 바뀌었는데요. 대방초는 신길동에, 신길초는 대방동에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잠원초등학교와 방배중학교 또한 잠원동, 방배동이 아닌 반포 2동, 반포 4동에 각각 위치해 있죠.
출처 : 경남일보, 한국면세뉴스, 네이버지도
공항도 예외는 아닌데요. 김포 공항은 김포시가 아닌 서울 강서구에 위치해 있습니다. 서울과 가까워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김포공항이 실제로도 서울이었다니 모르는 분들도 많았을 것 같은데요. 김해공항도 김해시에 위치해 있지 않습니다. 김해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해있죠. 공항 이름만 보고 공항을 가기 위해 김포나 김해 가는 버스를 타지 않도록 유의해야겠습니다.
현재는 스마트폰으로 지도 앱을 사용하면 가는 길을 금방 찾을 수 있다지만 스마트폰이 없던 시대에는 어떻게 다녔을까 싶네요. 한편으로는 이름과 위치가 맞지 않은 사례들을 보자니 재밌기도 한데요. 이름만 보고 속지 않도록 지도 앱을 잘 활용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