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전문가들이 TV 프로그램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솔루션 예능’이라는 하나의 장르를 만들어가는 이들은 인포메이션과 엔터테이너를 합친 말인 ‘인포테이너’로 불리고 있는데요. 문제 되는 행동을 시청자들이 알 수 있도록 설명하고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하면서 주목받고 있죠. 대표적으로 오은영 박사와 강형욱 동물 훈련사를 꼽을 수 있습니다.
두 사람은 현재 각각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개는 훌륭하다’에 출연하고 있죠. 그런데 프로그램을 잘 보다 보면 오은영과 강형욱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복붙 수준으로 비슷하다는 두 전문가의 교육법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두 사람 모두 깊이 있는 전문지식을 검증받았는데요. 자신의 분야에서 오랜 시간 동안 공부하고 활동하면서 내공을 쌓아왔다는 것이 가장 큰 공통점이죠. 육아계의 대모로 불리는 오은영은 엄청난 스펙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오은영을 의사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심리상담사, 심리학과 교수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죠. 실제로는 연세대학을 거쳐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과정을 졸업한 소아 청소년 정신과 전문의인데요. 삼성병원을 비롯한 유명 병원에서 근무하고 의대 교수를 거쳐 굵직한 경력을 쌓아가고 있는 30년 넘는 베테랑 의사죠. 오은영은 직접 방송에 출연해 자신이 ‘전신과 전문의’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반려견 행동 전문가인 강형욱은 한국에 반려견 훈련사라는 직업의 인식 전환을 이끌어낸 바 있죠. 개와 친하게 사는 미국이나 유럽 국가의 훈련 방식을 한국에 전한 선구자로도 유명한데요. 강형욱은 기존의 강압적이 훈련 방식에서 벗어나 반려견이 스스로 생각하게 하고 보호자의 행동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전환을 유도한 바 있죠. 강형욱은 견주, 개 주인이 아닌 보호자라는 말을 쓰면서 반려견과 함께하는 보호자라는 인식 전환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강형욱은 1999년 한국 장애인 도우미견 학교 훈련사로 입문해 호주, 일본, 노르웨이 등에서 훈련사 활동과 연수를 받기도 했는데요. KCC 1등 훈련사 자격을 갖추고 현재 보듬컴퍼니 대표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두 사람의 공통점은 문제 분석을 통해 다양한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는 것입니다. 의뢰인에게 자신의 삶과 실제 경험을 토대로 공감하고 경청하며 구체적인 해결법을 제기해 주고 있죠. 오은영은 9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SBS 프로그램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에 출연하면서 다양한 의뢰인들을 만났습니다. 이 과정에서 말 안 듣고 울고 떼쓰는 아이들을 살펴보고 문제를 분석했죠. 아이가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근거를 통해 제시하며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강형욱 역시 EBS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에 출연해 반려견의 문제 행동을 살펴보는 시간을 충분히 가졌는데요. 그도 반려견의 행동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왜 이렇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며 보호자에게 구체적인 해결 방법을 보여주었죠,
두 사람의 솔루션을 모두 문제 행동 대상이 아닌 보호자를 향했습니다. 아이와 동물의 행동을 교정한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부모와 보호자의 행동 교정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는데요.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는 ‘우리 부모가 달라졌어요’로 바꿔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기도 했죠. 프로그램에서도 아이의 행동 교정보다는 부모의 육아법 교정이 중점적으로 다뤄졌습니다.
강형욱의 솔루션도 문제는 보호자의 행동에 있다고 지적하며 이들의 변화를 요구했습니다. 보호자의 무관심, 폭력성, 개가 살기 나쁜 환경 조성 등을 지적하며 이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죠. 강형욱 역시 자신의 훈련은 사실상 ‘사람을 교육하는 것’이라는 말을 했는데요. 한 인터뷰를 통해 “강하지 훈련사라고 속이고 가는 거다”라며 우스갯소리를 했습니다.
자신의 자리에서 확고한 입지를 차지하는 두 사람의 공통점은 이렇게 정리됩니다. 이들은 전문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기본이고 문제에 대한 예리한 분석, 구체적인 해결책까지 비슷한 모습을 보였죠. 나긋나긋한 말투를 사용하지만 대상에 대한 애정과 내공이 상당한 것이 느껴진다는 것도 공통점으로 꼽히고 있는데요. 아이와 반려견이라는 대상은 다르지만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공감하고 경청하는 이들은 매주 TV 프로그램을 통해 고민을 앓고 있는 가정들에 단비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