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smartincome.com

짝수 달에는 부자인데 

홀수 달에는 가난했던 친구, 이유는?

여러분은 어디까지를 '연봉'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딱 기본급만 연봉이라고 부를지, 성과급·보너스와 각종 수당까지 계산에 넣을지, 세전·세후 금액 중 무엇을 기준으로 할지에 따라 연봉의 금액은 크게 달라집니다. 


출처 - cc0photo.com

분명 연봉 계약서를 쓰고 입사한 걸로 알고 있는데, 옆에서 지켜보니 월급 금액이 월별로 크게 다른 사람들도 주변에 종종 존재하죠. 짝수 달에는 월급이 많아 생활이 풍족한 반면, 홀수 달에는 수입이 지출을 따라잡지 못할 정도로 쪼들리는 식입니다. 이렇게 격월 주기로 이들의 월급이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상여금의 존재


출처 - instagram@h_chuuuuu

정해진 기본급 외에 따로 지급되는 급여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일정한 목표에 도달하면 지급되는 '성과급', 통상 보너스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상여금'을 꼽아 볼 수 있을 텐데요. 성과급은 어떤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는지 그 기준이 명확합니다. 반면 일반 상여금은 특정 시기에, 정확한 기준이나 조건 없이 지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기 휴가비, 명절 보너스, 연말 보너스 등이 이에 포함되죠. 


출처 - SBS 돈워리스쿨

위에 언급한 '짝수 달에는 부자이고 홀수 달에는 가난한' 사람은 기본급을 적게 잡고 격월 지급하는 상여금으로 전체 연봉 금액을 높이는 회사에 다니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스브스 뉴스가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하는 <돈 워리 스쿨>에 따르면 이런 형태의 상여금을 지급한다면 일이 많고 힘든 회사일 가능성이 많다는데요. 월급이 많은 달에는 의욕이 넘쳐 힘든 일도 거뜬히 해내고, 월급이 적은 달에는 당장 때려치우고 싶어도 지출보다 수입이 적어서 다음 달을 기약하게 된다네요. 


세금과 퇴직금 반영 여부


출처 - SBS 돈워리스쿨

성과급은 퇴직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평균임금에 포함됩니다. 다만 지급 시기, 산정 방식 등에 따라 연간 받은 금액의 3/12가 반영될 수도, 평균임금 산정 직전 임금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경우 해당 기간을 제외하고 산정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죠.


출처 - SBS 돈워리스쿨

반면 성과급이 아닌 일반 상여금은 주는 시기와 조건이 불명확하기 때문에 통상임금으로 인정되지 않아 퇴직금 산정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하지만 위의 예처럼 상여금이 정기 지급되는 경우는 통상임금으로 차츰 인정되는 추세입니다. 또한 상여금도 과세 급여이므로, 근로소득세 원천징수의 대상이 됩니다. 근로 소득세는 소득이 높을수록 비율이 높아지는 누진제이기 때문에 상여금을 받는 달에는 평소보다 조금 더 많은 근로소득세를 납부하게 되는 것이죠. 


반면 '호의적, 임의적 금품'은 통상임금도 아니고, 따라서 퇴직금 산정에도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회사의 수익 증대에 따라 일시적으로 지급하는 '경영 성과 배분금'이 그 대표적인 경우인데요. 최근 반도체 수출 증가로 수익이 극대화되자 직원들에게 1700%의 보너스를 지급한 'SK 하이닉스'를 예로 들어볼 수 있겠습니다. 


그 외 각종 수당 계산 방법


출처 - SBS 돈워리스쿨

스브스 뉴스의 <돈 워리 스쿨>에서는 성과급과 상여금 외의 수당을 계산하는 방법도 알려줍니다. 수당을 계산하려면 우선 본인의 시급을 알아야 하는데요. 월급 금액을 209로 나눈 금액이 시급이 됩니다. 기본 근무시간인 174시간에 주휴 시간 35시간을 더하면 한 달에 총 209시간이라는 계산이 나오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월급이 209만 원인 사람은 시급이 1만 원이고, 이 경우 수당 가산 비율이 20%라고 가정한다면 2천 원의 수당이 추가됩니다.


최저임금 인상의 여파


출처 - SBS 뉴스

이와 관련해 최근 나타난 의외의 현상이 하나 있습니다. 최저임금은 올랐는데, 직장인들의 실수령액은 오히려 작아졌다는 것인데요. 이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자영업자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최저임금 산입 범위를 확대했기 때문입니다. 최저임금의 25%를 초과하는 정기 상여금과 최저임금의 7%를 초과하는 복리후생비를 산입 범위에 포함했죠. 


매달 현금으로 지급되던 정기 상여금과 식대·숙식비·교통비 등 복리후생비가 일정 부분 최저임금에 포함되도록 하는 이 방침으로 인해 '최저임금 인상 효과가 사실상 무력화되었다'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히려 비과세였던 식대가 기본급으로 전환되면서 세금이 추가로 부과되고, 이에 따라 실수령액이 낮아지는 경우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고 하네요.